"실거주 의무 폐지" 불발에 수분양자 속타들어가...

300x250

실거주 의무 폐지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최근 뜨거운 이슈 중 하나인 "실거주 의무 폐지"에 대해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실거주 의무 폐지에 대한 논의와 그에 따른 현상은 어떤 것일까요?

 

"분양받은 아파트의 입주 시기가 당장 도래했는데 실거주 의무가 폐지되지 않아 혼란스럽다"

"현재 살고 있는 전셋집의 계약기간이 남은 데다 분양 아파트의 잔금 치를 돈을 마련해야 하는 것도 걱정"

 

 

# "실거주 의무 폐지" 불투명

지난 1년 동안 실거주 의무 폐지를 둘러싼 논쟁은 더욱 확산되고 있습니다.

국토부가 발표한 1월 대책에서부터 시작된 이 논의는 아직도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최근 12월에 열린 정기국회에서도 관련 법안이 상정되지 못하면서 실거주 의무 폐지의 가능성은 더욱 불투명해지고 있습니다.

현재의 상황을 종합해 보면, 이 논의가 어떤 영향을 부동산 시장과 참여자들에게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실거주 의무 폐지"의 배경과 이유

실거주 의무는 2021년 분양가 상한제와 함께 도입된 정책으로, 부동산 시장에서의 과도한 투기를 방지하고 실수요자들에게 혜택을 주기 위한 것입니다.

그러나 이 정책에 대한 지지와 반대 의견은 분명히 갈려 있습니다.

정부와 여당은 현금 보유 부자들에게 유리한 정책으로 꼽으며 지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야당은 전세 사기와 깡통전세, 갭투자 문제를 우려하며 폐지에 반대하고 있습니다.

 

 

# 정부와 야당 간의 입장차

 

이 정책에 대한 지지와 반대는 정부와 야당 간의 뚜렷한 입장 차이에서 비롯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정책이 서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책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주거사다리의 역할 말이죠.

그러나 야당은 이를 통한 갭투자와 부작용을 우려하며 폐지에 반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입장 차이가 현재의 법안 통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향후 전망

현재로서는 법안 통과가 미지수인 상황에서 향후 전망은 불투명합니다.

5월에 21대 국회 회기가 종료되면, 이와 관련된 법안은 자동 폐기되게 됩니다.

따라서 부동산 시장 참여자들은 향후 몇 달 동안 어떠한 결정이 내려질지에 대한 불안감을 안고 계실 것입니다.

 

정부와 야당 간의 입장차와 현재의 법안 통과 여부에 따라 부동산 시장이 어떻게 변할지는 미지수입니다.

 

하지만, 국토부장관 후보자는 이런 생각을 갖고 있네요.

 

 

300x250

 

 


 

 

제 생각엔 실거주 의무 풀릴 거라 봅니다.

1."실거주 의무, 지금 쓸만한  시장 상황 아니다"라는 후보의 발언이 있었고,

 

2. 집값이 오를때야 실거주 의무 폐지를 반대하지만,

지금은 집값이 떨어지면서 시장 분이기가 좋지 않은 명분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악화되고 있는 건설경기를 그냥 놔둘까요?

계속해서 업데이트되는 소식에 주목하며, 신중한 판단이 필요한 시기임을 잊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